강남·서초 지역의 점포 시세가 1년 전에 비해 1000만원씩 빠진 가운데 송파구 점포 시세는 오히려 1600만원 가량 오르는 등 강남 3구 내에서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점포라인과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이 11월 들어 시장에 나온 점포매물 300개(평균면적: 191.73㎡, 192㎡)를 조사한 결과 강남 3구의 점포 평균 매매가는 전년 동월(매물수:299개, 평균면적: 168.59㎡) 1억5478만원에서 1.03% 빠진 1억5318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은 불황으로 인한 권리금 하락세가 두드러지며 시세가 폭락했던 시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강남 3구의 평균 매매가가 당시보다 더 떨어졌다는 것은 의외의 결과다. 이 지역에는 국내에서도 최고로 평가되는 상권이 여럿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보면 평균 매매가가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서초구로 나타났다. 서초구 매매가는 1억7216만원에서 5.88% 감소한 1억6203만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보증금과 권리금이 각각 9.3%, 4.18% 하락하며 건물 임대와 점포 영업 상황이 모두 원활치 못함을 시사했다.
강남구도 1억9075만원에서 1억8043만원으로 5.41% 하락했다. 강남구의 경우 권리금 하락률은 0.03%로 변동이 거의 없었지만 보증금이 6358만원에서 5329만원으로 16.18%(1029만원) 급감하며 매매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양상은 점포 영업이 어느 정도 이뤄지고 있지만 건물 임대 상황은 여의치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반면 송파구 점포 시세는 1년 만에 1600만원 가까이 오르며 활짝 웃었다. 이 지역 점포의 평균 매매가는 1억144만원에서 1억1709만원으로 15.42%(1565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보증금과 권리금이 각각 10.18%(304만원), 17.61%(1260만원) 증가해 강남·서초 지역과 대조를 이뤘다.
업계에서는 강남 3구 지역의 점포 시세 등락이 엇갈린 것에 대해 DTI 규제, 점포임대 조건, 배후지 수요 흡수 등이 주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상가 권리금, 상업용부동산 정보공유 업무협약)